성명,보도자료
(보도자료)시대상황 반영 못하는 복지부의 부과체계 개편안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작성일17-02-03 10:14 조회조회수 3,124회본문
■위원장 황병래 ■ 강원도 원주시 건강로 32 (국민건강보험공단 18층)
시대변화와 현실 반영 못하는 복지부의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안
- 자동차와 서민 전월세에도 추정소득으로 보험료 부과토록 하여 위헌소송 제기시 패소 가능성 높아
- 부과체계개선 기획단의 최종안보다 2단계 후퇴시켜 소득중심 보험료 부과 취지와 한참 동떨어져
- 3단계로 바로 가지 않으면 1단계에서 2, 3단계 인상 예정 가입자까지 반발 확산으로 좌초 가능성 커
4. 개편안은 ‘13년 출범한 부과체계개선 기획단이 15.01월에 발표하려 했던 최종안을 각 3년씩 3단계로 나누어 2027년 완료되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보험료 인상가구에 대한 충격완화와 국민수용성을 내세우지만, 부과체계개선 기획단에 참여했던 대다수 전문가들이 지적하듯이, 1단계부터 시작될 논란과 저항을 감안해서라도 압축하여 3단계로 바로 가는 것이 타당하다. 3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www.nhiu.or.kr) |
보도자료 | ||
보도일시 |
배포즉시/2017.02.01.(수) | ||
수신 |
언론사 사회, 복지, 노동담당 기자 | ||
제목 |
시대상황 반영 못하는 복지부의 부과체계 개편안 (총 3쪽) | ||
담당 |
정책기획실 / ☎(033) 736-4040-43 |
- 자동차와 서민 전월세에도 추정소득으로 보험료 부과토록 하여 위헌소송 제기시 패소 가능성 높아
- 부과체계개선 기획단의 최종안보다 2단계 후퇴시켜 소득중심 보험료 부과 취지와 한참 동떨어져
- 3단계로 바로 가지 않으면 1단계에서 2, 3단계 인상 예정 가입자까지 반발 확산으로 좌초 가능성 커
현행 건강보험료 부과체계는 국민수용성, 공평성, 지속가능성 등 부과의 삼요소중 어느 것 하나 충족한 것이 없다. ‘98년 이래 땜질식 처방으로 누더기가 되어버린 부과체계의 개편방안을 수면 위로 올린 것은 ’12년 국민건강보험공단(당시 김종대 이사장)이었다. 박근혜 정부는 부과체계 개편을 국정과제로 선정하여 ‘복지부 산하 기획단’을 통해 개편방안을 마련하였으나, ‘15.01월 돌연 백지화를 선언함에 따라 국민적 비난을 자초했다. 이에 우리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위원장 황병래)은 현장에서 부과업무를 수행하는 실무 담당자로서 정부의 1.23일 개편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 |
4. 개편안은 ‘13년 출범한 부과체계개선 기획단이 15.01월에 발표하려 했던 최종안을 각 3년씩 3단계로 나누어 2027년 완료되는 로드맵을 제시했다. 보험료 인상가구에 대한 충격완화와 국민수용성을 내세우지만, 부과체계개선 기획단에 참여했던 대다수 전문가들이 지적하듯이, 1단계부터 시작될 논란과 저항을 감안해서라도 압축하여 3단계로 바로 가는 것이 타당하다. 3
첨부파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